IAQ 개선 및 관리 솔루션

실시간 실내공기 품질 측정을 위한 다중센서 플랫폼

다중이용시설 맞춤형 실내공기품질 다중센싱 활용기술

복합필터

시설특성반영 공기청정기술 (공기청정장치, 필터 등)

특정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복합 필터 개발
- 특정 가스상 오염물질 대상 흡착 메커니즘 파악
- 복합필터에 대한 가스상 오염물질(VOC류 및 암모니아) 제거 활성탄 필터(패릿형)2종
: 노인요양시설의 냄새(암모니아 등)제거용 활성탄 필터
: 어린이집의 VOC 류 제거용 활성탄 필터 제작(benzene,Toluene등은 물리흡착이나 촉매반응으로 제거 가능)
장점 단점 비고
물리
흡착
비교적 낮은 온도 흡착량 많음
비표면적, 세공크기에 의존 작용기가 없어도 제거 가능
흡착후 쉽게 탈착됨 (가역적)
van der Waals force에 의한 흡착
BTX 가스류, Paraffin
가스류 제거에 사용됨.
화학
흡착
탈착이 어려워 재오염 되지 않음
표면 작용기 조절로 특정 가스에 반응함.
비교적 높은 온도반응 싸이트만큼 흡착 작용기가
있어야 제거 가능함.표면에 대응 작용기를 첨착해야 함.
산, 염기, 알데히드류
가스 제거에 사용됨.

물리흡착(physisorption) vs 화학흡착(chemisorption)

대상가스 흡착 메카니즘
포름알데히드(HCHO) Schiff Base Reaction
암모니아 (NH3) Acid-Base Reaction
아세트 알데히드 (CH3CHO) Schiff Base Reaction
아세트산/초산 (CH3COOH) Acid-Base Reaction
톨루엔 (C6H5CH3) 물리흡착, 촉매반응

Schiff Base Reaction(화학흡착)1차 amine & aldehyde, ketone이 반응, imine 형성

IAQ 댐퍼 컨트롤러 및 IoT 에너지벨브

IAQ 댐퍼 콘트롤러 및 IoT 에너지밸브 개발 및 실증

[2세부] 실내공기질 개선 및 관리기술

1. 실내공기품질 통합평가지수 기반 제어시스템

시설 유형별 이용자 체감형 실내공기품질 통합평가지수 개발 및 적용
- 기존 : CO2, 미세먼지 등 단순 물리적 환경인자 기반 실내환경 제어
- 개선 : 실내공기질 및 쾌적성, 건강위해도를 고려한 통합평가지수 개발/적용

2. AI기반 실내공기질 예측 및 운전 솔루션

기술개요 : 시설유형별 실내공기질 예측을 통한 환기시스템 운전가이드 및 행동요령 안내

3. 시설유형 맞춤형 필터시스템

특정 오염물질(냄새 등) 제거를 위한 저차압 고효율 복합 필터 개발 및 적용
- 어린이집 및 정왕동 환경특성(냄새 등)을 고려한 필터시스템 적용

4. 기능성 무기질 친환경도료

  • 기술개요 : 천연광물을 주원료로 실내마감용 기능성 무기질 코팅재(HCHO 69% 및 HCHO 98% 흡착〮저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피움 공동개발
  • 적용부위 : 보둠이나눔이 어린이집 일부교실 및 복도(냄새 및 곰팡이 발생공간)

공기질 측정 병행을 통한 안전사고 신속감지 및 사전대응 정보기술

급배기 시스템 제어를 통한 오염물질 확산 방지 및 제거

시설유형별 표준운영절차서(SOP) 및 인증제도 연계방안

  • SOP.1 실내 공기질 관리 표준운영절차서 (어린이집)
  • SOP.2 실내 공기질 관리 표준운영절차서 (노인요양시설)
  • SOP.3 실내 공기질 관리 표준운영절차서 (지하도상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223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고양대로 283Tel. 031-910-0114 E-mail. webmaster@kict.re.kr

관리자 선택

다중이용시설 통합 관리자